728x90

해피마린입니다. 

오늘은 지난주에 했던 작업기 입니다. 

최근에 선주분들께서 1k 송수파기를 많이 부착하시는데요. 아무래도 결과물이 클리어하고

깊은 곳을 빠른속도로 다닐 때는 도움이 됩니다. 

지난번엔 M260을 부착한 적이 있었죠.. 개인적으로는 M260타잎은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각도를 맞추기 위해 커팅을 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요게 M260 시리즈죠.. 사진과 같이 케이스를 잘라줘야 합니다. 

M280시리즈는 같은 1K이면서 각도를 맞추기 위해 뭔가 자를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데드라이즈 각을 

한번 정확하게 측정해 줘야 합니다. 

M280시리즈는 겉 케이스도 각이 져 있고 안쪽 송수파기도 각이 져 있습니다. 

이걸 각각 데드라이즈 각에 맞추어 비틀어 붙여주면 아래쪽을 향하게 되는 것이죠..

 

웰크래프트에 장착을 하는데 기존에 달려있던 HST-WSBL은 수온측정용으로 다른 체널에 붙여 쓰기로 했고

M285는 추가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M285가 무척 고가의 제품인데 다행히 상태좋은 중고가 하나 떠 있어 

그걸 쓰기로 했습니다. 

 

일단 데드라이즈는 20도로 측정했고.. 케이스를 붙여야 되는데 일단 에폭시로 4점을 찍고 속건성 접착실리콘으로 

자리를 잡아주기로 했습니다. 접착면은 양쪽 다 샌딩도 해 주어야 하구요~

사진과 같이 데드라이즈 각이 각인되어있습니다. 메뉴얼대로 맞추어 주면 됩니다. 

 

요 아래에 붙이기로 하고 갈아주었습니다. 

제가 4년넘게 애용하고 있는 실리콘입니다. 국산 누리캠 제품인데 우레탄 변성 실리콘중에서는 가성비가 정말 좋습니다. 

050번은 속건성 접착실리콘인데 접착력이 정말 좋습니다.. 만 자외선과 수분에 노출되는 곳에 쓰면 변색되면서 

열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해서 단독으로 쓰려면 쓰는 장소를 가려야 하고 다른 종류와 병행하시는게 좋습니다. 

1000 번은 일반적으로 쓰기에 좋습니다. 어느정도 접착강도도 있고 탄력도 좋고.. 경화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050번으로 붙이고 1000 번으로 감싸려고 했었는데

비교적 구하기 편한 제품 중에 끝판왕 TEC7이 있길래 그걸 쓰기로 했어요. TEC7는 전반적으로 매우 우수한

물성을 보여주는데 경화되는 시간이 오래걸려서 수직이나 사면에서 쓰거나 무거운 물체를 감당해야 할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면 어려움이 있습니다. 비싼것도 한몫 하구요. 누리캠 제품 대비 3.5배 수준이니.. 

( 그래도 시카 291 보다야.. ) 

해서 사진과 같이 부착해 주었습니다. 

안쪽에 잠그기 전에 부동액을 부어야 하는데 어떤걸 쓸까 고민하다가 워셔액으로 대체했습니다. 

어자피 워셔액도 영하 25도까지 견디기 때문에 충분할겁니다. 크게 독성도 없을것 같구요. 

M285에 나비코 제품에 맞는 컨버팅 케이블을 써 주면.. 자동인식 기능이 지원됩니다. 

설정하지 않아도 플로터에서 인식하는걸 볼 수 있어요.  수온은 뒤쪽에서 따오는 걸로 설정해놨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후미 거치시 나오는 자세와 속도에 따른 버벅거림은 없을것으로 생각합니다. 

 

송수파기 작업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작업기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Posted by 라덴氏
:
728x90

해피마린입니다.

엊그제는 봄철 정비를 위해 배가 한대 오고갔는데요. 본래 배선작업을 하려고 오셨습니다만

어찌어찌 다른 경정비도 다 하고 가시게 되었네요.

해서 작년에 만들어 두었던 연료통 클린킷 발동~!

이라고 해봐야.. 뭐 기어펌프에 유수분리기 물려놓은 것뿐이 안됩니다만

여과된 연료는 다시 주입구로 들어가서 순환시키는 구조입니다.

연료통 물 때문에 바다에서 서본 적이 한두번이 아니라서 ^^;

그래도 기어펌프를 비싼걸 쓰니 여과속도가 장난이 아닙니다. 역시 투자한 보람이 !

100리터 안쪽은 10분정도만 돌려도 되겠어요. =) ( 어자피 물과 이물질은 아래로 쌓이기 때문입니다. )

 

시간이 되면 들러주시는 보트들 돌려드릴 계획입니다. =)

다음 포스팅에서 또 뵙겠습니다. 

728x90
Posted by 라덴氏
:
728x90

해피마린입니다. 

앞으로는 완료된 작업이 있다면 간간히 기록을 남기려고 합니다. 최근에 출고된 두번째 보트가 되겠네요. 

김해쪽에 계신 선주께서 새로 중고를 구입하신 보트에 울테라를 부착하신다 하시어 진행한 작업입니다. 

요 배인데 독특한 선명과 색상덕에 경기도쪽에서는 나름 유명(?)했다고 합니다. 간간히 오시는 분들이 알아보시는

분이 많이 계시더군요 ;;

이 배의 경우 이전에 트롤링 모터를 사용했던 이력이 있는것 같았습니다. 브라켓 자리가 있기는 했는데 

워낙 대강 공사를 하신것 같고 고하중에 견디기 어려울것 같아 뜯어내고 새로 제작을 했구요.

이전에도 말씀드린 것 같이 배의 표면에 딱 맞는 브라켓을 제작해서 브라켓 면적을 최소화했습니다. 

이제 간단한 스텐 아크용접은 직접 하니까 만드는게 좀더 자유로워졌습니다. 매번 들고 특수용접집 가지 않아도

되니까요. 물론 비드는 꽝인데 강도는 충분히 나옵니다.  =) 조금씩 늘겠죠. 

다음은 전원부입니다. 늘 그리했듯 딥사이클 + 자체충전 셋으로 갑니다. 

선주께서 지붕에 달 태양광 패널과 세팅할 베터리를 보내주셨습니다. 

 태양광 패널은 20와트 3장입니다. 항상 충전은 각각, 방전은 직렬입니다. 

이번 태양광태널은 컨트롤러 일체형이라 일은 조금 편하긴 했는데 아래쪽에서 태양광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별도로 볼트메터를 달거나 해야 알 수 있겠네요.. 이점은 설명드렸습니다. 

전원은 실내 안쪽이었기 때문에 늘 하듯이 산업용 배터리 3개를 묻었습니다. 알터네이터 차져도 같이 들어가 있구요.

용량이 좀 작아보이는 듯 한데 80암페어까지는 넣을 수 있게 해 놓았습니다. 나중에 간단히 바꿀 수 있습니다. 

그 외 전방 서치도 요청에 따라 부착했구요. 이 정도로 작업은 마무리 되었습니다. 

AF칠도 말씀하시길래 지금은 추워서 안되고 내년 3월쯤 하시라 말씀드렸습니다. 

지금도 물론 바깥에서 칠이 안되는 건 아니지만 하면 차자가 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돌아가는 먼길 잘 가셨으리라 생각하구요. 

오늘은 이상입니다. 

 

728x90
Posted by 라덴氏
:
728x90

해피마린입니다. 

최근에 포스팅이 적었는데.. 잔잔한 작업량이 많은 일일 몇건 하는 통에 그리 되었었네요.. 

이번 포스팅 내용은 그중 하나입니다. 

요 배 이야기입니다.  웰크래프트 스포츠맨 21 입니다. 

작년 말에 이야기가 되서 수입을 진행했던 물건인데 운송상 여러가지 문제가 생겨 시간이 지체되면서 

원래 주문하셨던 분께서 제게 자기를 기망했다 하여 인수를 못하겠다 하시어 결국 제가 떠안게 된 비운의 보트였죠.

앞으로 원거리에 있는건 건드리지 말아야겠다.. 라고 다짐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보트였습니다. 

이 사단의 가장 큰 원인은 너무 멀리 있었다는 것이었습니다. 보스턴 위쪽에 있었던 배인데 트레일러도 없었고.

중고트레일러를 구하다가 시간보내고.. 새 트레일러 주문하고 시간보내고.. 끌고오는 기사 찾다가 시간보내고..

연말연시 물류 적체로 시간보내고..  10월쯤 구매해서 익년도 3월 말에 받을 수 있었습니다. 

배는 참 좋았습니다. 엔진역시 130여시간밖에 사용하지 않았었죠.. 

아무튼 이번에 다행히 주인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비미니탑을 장비하고 뒤에 스키를 끌 수 있는 지지대가 있었는데 야간에 낚시를 하시려면 이런저런

악세사리가 올라가야 하고 충전에 대한 대책이 필요했기 때문에 지붕을 올려야 했습니다. 

해서 이번에 새로 들어온 돌핀의 WA용 탑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이 탑이 설치가 무척 까다로웠는데 티탑에 비해 덩치가 커졌기 때문에 탑 전체를 들지 않으면 모양잡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 체인블럭으로 탑 전체를 들고 배를 밀어 넣어 맞추기로 했습니다. 

본래 WA용을 DC에 맞추려고 하니 지붕이 좀 좁게 느껴지긴 합니다만 제역할을 충분히 하겠습니다. 

 뒤에서 보면 이렇죠.. 대강 자리를 잡구요. 

고정하고 탑을 얹었습니다. 검은색 소프트 탑입니다. 탑 얹는데도 이틀이 걸렸는데 처음하는 일이기도 했었지만

개끗하게 자리잡고 고정하기 위한 위치를 잡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거기에 혼자 작업해야 하니까요. 

 

밤에 사진을 찍으면 대강 이런 모습이죠.. 

다음은 낚시하시는데 필요한 울테라를 장착했습니다. 

보통 울테라를 장착하는데는

부착위치와 브라켓 제작.

전원시스템 구성. 

크게 두가지 섹션으로 나뉘게 됩니다..

울테라를 장착하는 위치는 가장 좋은것은 정중앙이 되겠지만 접안할 때의 문제와 뒷공간의 문제로 옆으로 

빼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이번에는 중앙으로 보냈습니다. DC타잎이라 보니 뒤쪽에 윈드실드가 있어서

각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거기에 브라켓 만드는게 쉽지 않았는데 앞쪽 곡면이 너무 길었기

때문입니다. 일일이 맞추어가며 다시 만들어야 했습니다. 

좀 귀찮아도 이렇게 만들어야 30킬로에 육박하는 모터를 최소한의 브라켓으로 받칠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무게 때문에 퀵릴리즈 브라켓 쓰는걸 권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배터리 구성입니다. 

보통 울레타를 쓰시는 분들은 파워팩을 만들어 쓰시는데 (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고 알고 있지만 ) 리튬의 전압문제와

높은 가격의 문제, 그리고 파워팩 자체의 무게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저는 딥사이클 혹은 AGM을 묻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112파운드급을 다는 경우 티탑 혹은 하드탑 등 지붕을 달고 나오는 ( 혹은 달 수 있는 )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태양광 충전이 가능하고 여기에 알터네이터 충전기까지 같이 물려주면 별도의 AC충전없이 운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매일 낚시를 하시거나 울테라 사용시간이 긴 경우는 모자를 수 있으니 이 경우에는 

별도로 파워팩을 장만하시라 권해드립니다. 이런 분들은 어자피 파워팩 하나로 모자르게 되기 때문에 파워팩 

2개로 운용하는 것보다 여러모로 훨씬 간편하기 때문이죠.. 

 

일단 태양광 패널을 올려야죠.. 

여러모로 고민하다가 스텐파이프와 판으로 틀을 만들어 올려 60와트급 3개를 올릴 수 있었습니다. 

컨트롤러는 전원스위치가 있는 쪽으로 전부 모을 수 있었구요. 

이 배는 가운데 통로 아래쪽에 수납공간이 있었습니다. 여기로 트롤링모터에 전원에 대한 모든걸 

모으기로 하고 .. 배선을 모으는게 정말 어려웠습니다만 배를 거의 반 분해하다시피 해서 라인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알터네이터 차져도 같이 담을 수 있었구요. 한군데로 모아 차후 발생할 수 있는 유지보수도 편하게 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이정도 양이면 3일정도 텀이면 모자름없이 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플로터를 설치했는데.. 나중에 다른 배에 이어쓰기 위해 12인치를 달고자 하셨고.. 

DC의 구조적인 특성상 큰 사이즈를 매립할 수가 없어 사진과 같이 마무리 했습니다. 

앉은 높이에서도 시야에 불편함은 없습니다. 

 

기타 야간항해를 위한 서치를 많이 달아달라 주문하셨는데.. 보통 지붕이 달린 배는 지붕에 많이 서치를 부착하시는데.

지붕에 달 경우 자칫 잘못하면 항해에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빛이 퍼져 데크에 조금이라도 반사될 경우 

우리 눈의 조리개가 그 빛에 맞추어져 앞이 하나도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죠.. 

때문에 위쪽으로 다는 서치는 조사각이 조절되는 제품을 쓰는게 맞고 아니라면 조그만 것이라도 배 앞에 부착하는게

훨씬 도움이 됩니다. 

 

일단 울테라 아래로 앞서치를 하나 달았구요. 

앞쪽 2~30미터만 보이면 충분합니다. 

 

지붕에 실내등을 달았습니다. 

위쪽에는 할로겐 서치를 달았습니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모델이구요.

빛의 성질상 야간 바다에서는 LED보다는 할로겐이 낫습니다. 약 300미터가 나가는 모델인데 

 약 200미터 앞까지는 나가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가운데 반사되는 빛 보이시죠. 

 

 이 배는 다음주 출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올겨울부터 활약하기를 기대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728x90
Posted by 라덴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