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지 시공할 때는 원칙대로 해야 한다. ( AF 이야기 )
초심자를 위하여 2016. 2. 8. 01:13 |해피마린입니다.
이번주 화요일에는 원래 예정했던대로 부산 출장을 다녀왔었습니다.
몇가지 전기적 공사도 있고 오일갈고.. 점검하고.. 했습니다만 다녀왔던 큰 이유중의 하나가 AF를 확인하는 것이었습니다.
제 기억에 작년 3월 말에 작업을 했었구요. 저는 제조사의 메뉴얼대로 작업을 했고 제조사가 이야기하는 수명은 약 1년이었습니다.
작업에는 많은 조건이 있었는데 그중 골자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 샌딩을 할 것.. ( 60 ~ 100 방 사이 ) 혹은 새 배의 경우 디왁싱 작업을 할것.
- 희석하지 않기를 권하며 굳이 하려거든 5% 이상 희석하지 않는다.
- 수성도료가 아닌 경우 희석시 전용 시너를 사용한다.
- 상온 10도 이상의 환경에서 작업할것
- 작업간 3 ~ 6 시간의 건조, 프라이머, AF 최소 3회씩 도포 ( 최소 6회 작업 )
- 작업을 마친 후에 최소 24시간 건조후 진수
위와같이 공사하면 21피트급까지는 딱 한깡통씩 들어갑니다. 재료값만 50여만원에 달합니다.
아무튼 제조사에서 알려준 공정을 정확히 거쳐서 시공한 후 1년이 지난 결과물이 이랬습니다.
Before..
After.. ( 고압으로 불기 전 )
1년이 지난 후에도 멀쩡했습니다. 고압으로살짝 불어내니 아직도 AF 본칠면이 살아있었고 시공되어있는 곳에는 생물이 거의 자라지 못했습니다.
남천항 인근 바다에서는 미역양식이 많고 AF도색이 없다면 1주일부터 생물이 자라기 시작해서 2주일이 되면 벌써 밀림이 됩니다.
그런 환경에서 저렇게 버텼다는건 굉장한 것이죠.. 정신없이 작업하으라 사진을 다 찍지는 못했는데 앞쪽에 닻과 윈들래스 공사를 하느라
앞이 조금더 가라앉은 부분이 있었는데 그곳은 여지없이 어마어마한 따개비가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헤라로도 잘 긁어지지 않았지요.
역시 권하는대로 해본 보람이 있었다 생각했습니다. AF의 성능도 성능이었지만 1년가까이 버티고도 아직 AF 층의 여력이 한참 남아
6개월 이상은 더 있어도 괜찮겠다 생각했습니다. 이 선주분이 정말 출조를 많이 하셨거든요.
아마 저보고 이 작업을 다시 하라고 하면 배를 갖다주시고 가지고 가시고 한다는 전제하에 120만원정도를 청구할 것입니다. 재료값도 그만큼 올랐고
샌딩포함 거의 5일을 매달아놓고 신경써야 하기 때문이죠.. 물론 타 업체 시공에 비해 비싸다는것은 알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전에 작업을 맡겼던 모업체도 마찬가지이고 다른 곳에서도 시세를 들어본 결과로는 대개 20 ~ 40 만원 사이인데
상식적으로는 원칙대로 시공해서는 절대 불가능한 가격입니다. 전의 모 업체 사장님말씀은 이정도 배는 한깡통으로 2번 정도는 쓰겠다 하시더군요..
샌딩도 하도도 없이 그냥 칠하시고 30여만원을 받아가셨는데 그 칠은 배를 배달하려 트레일링할때부터 바람에 맞아 일어나기 시작해서
시공후 3일도 못버티고 전부 떨어져나갔습니다. 저는 손님께는 환불해 드렸죠.. 어휴..
잘 하는 집도 수명이 길어야 3 ~ 6개월을 이야기합니만 그건 원래의 퍼포먼스가 아닙니다..
물론 저는 지난 시공때 Worldcat 에 문의했고 Worldcat 이 권장하는 제품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 나중에 알고 보니.. 프라이머가 제일 비싼 최상급. ;;; )
시중에 많이 쓰시는 인터럭스 (=인터내셔날 ) 제품도 성능은 아마 크게 다르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좋은 자재입니다.. 국산은 잘 모르겠구요..
결국 선주가 생각해야 할 것은 시공하는 방법에 따른 가격으로 수렴되는데 어떻게 시공하는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물론 3~40 만원을 들여 6개월마다 칠 할 것인가.. 120만원을 들여 1년 좀 넘는 수명을 누릴 것인가.. ( 제 기준에서.. )
이게 단순한 기간별 가격으로만 볼 수 없는 부분이 수상계류되어있는 배를 들어 칠을 한다는 것 자체가 꽤 큰 번거로움과 비용을 수반하기 떄문입니다..
결국은 선주의 선택의 문제가 되겠지요.
아무튼 저는 이번 AF 도장의 실험과 그 결과물을 지켜보면서 여러가지 느낀게 많았습니다.
앞으로도 누군가 AF도장을 의뢰하신다면 저는 비싸도 좀더 꼼꼼한 쪽을 권해드릴것 같네요. 직접 눈으로 본 이상은 다른 걸 생각하기는 어렵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초심자를 위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트를 제대로 생산하기 위하여. (2) | 2016.09.05 |
---|---|
시즌전 예방정비.. (1) 연료계 (2) | 2016.03.20 |
지극히 사적인 보트 선택의 견해 3 - 원점에서부터 - (15) | 2015.12.17 |
보트를 직접 만들어 보려는 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씀 (6) | 2015.09.07 |
포인트에 머무르기 위한 다양한 노력 (14) | 2015.07.01 |